충청주도(忠淸州道)
고려시대 22개 역도(驛道) 중의 하나로서 청주목(淸州牧) 관내의 30개 역과 수주(水州) 관내의 4개 역을 관할하는 역로망이다. 청주목의 주군인 공주·홍주·천안부 그리고 가림현(嘉林縣)의 오늘날 충청남도 지역에 넓게 분포하였고, 일부 북쪽의 역로가 경기도 수원지역으로 뻗어 있어 남경권역으로 연결되었다. 동쪽은 광주목(廣州牧)으로부터 남하한 광주도(廣州道)와 경상도 방면에서 청주목 인근에까지 편성되어 있던 경산부도(京山府道)에 접속하였고, 남쪽은 연산역에서 남하하여 전공주도(全公州道)의 평천역(平川驛)에 이르렀다.(稷山, 충청남도 천안시)], 신은(新恩)[천안(天安, 충청남도 천안시)], 금제(金蹄)[풍세(豐歲, 충청남도 천안시)], 장세(長世)[아주(牙州, 충청남도 아산시)], 창덕(昌德)[신창(新昌, 충청남도 아산시)], 이흥(理興)[온수...